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청성 뇌간 반응 검사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giarevietnam.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청성 뇌간 반응 검사 ABR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 비용, abr검사 비용, 순음청력검사, 뇌신경검사, 어음청력검사, 청력검사 병원, 청력 측정
Table of Contents
암교육센터 | 삼성서울병원
- Article author: www.samsunghospital.com
- Reviews from users: 49853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암교육센터 | 삼성서울병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청성뇌간반응검사는 음자극 후 약 0~10msec 이내에 와우에서 중추신경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전위를 그래프로 볼 수 있게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암교육센터 | 삼성서울병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청성뇌간반응검사는 음자극 후 약 0~10msec 이내에 와우에서 중추신경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전위를 그래프로 볼 수 있게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 암교육센터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삼성서울병원
- Table of Contents:
바로가기 메뉴
단축키 목록
암교육센터자료
검사정보
청성뇌간반응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전기와우청력검사 (Electrocochleography ECoG)
이음향방사검사 (OtoAcoustic Emissions OAEs)
신경전도검사 (Electroneuronography ENoG)

청성 뇌간 반응 검사
- Article author: www.jcohns.org
- Reviews from users: 9559
Ratings
- Top rated: 4.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청성뇌간반응 검사는 청각 전달경로에 대한 신경 활. 동의 평가와 비정상적인 신경 활동을 식별하는데 유용. 한 검사이다. 소리 자극을 주었을 때 청신경 말단에서 유.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청성뇌간반응 검사는 청각 전달경로에 대한 신경 활. 동의 평가와 비정상적인 신경 활동을 식별하는데 유용. 한 검사이다. 소리 자극을 주었을 때 청신경 말단에서 유.
- Table of Contents: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BR)에 대하여 알려드려요 🙂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8820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BR)에 대하여 알려드려요 🙂 : 네이버 블로그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BR)에 대하여 알려드려요 🙂 · 순음청력검사는 환자의 귀에 소리를 들려주고 이를 환자가 버튼을 눌러 환자의 청력을 평가하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BR)에 대하여 알려드려요 🙂 : 네이버 블로그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BR)에 대하여 알려드려요 🙂 · 순음청력검사는 환자의 귀에 소리를 들려주고 이를 환자가 버튼을 눌러 환자의 청력을 평가하는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이지숨 이비인후과 대표블로그
이 블로그
청각장애진단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청각장애진단
카테고리 글

청성 뇌간 반응 검사
- Article author: www.ejao.org
- Reviews from users: 36990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청력선별검사가 널리 시행됨에 따라 ABR은 난청의 위험이. 있는 유아에서 청력 역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청성뇌간반응은 청각신호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청력선별검사가 널리 시행됨에 따라 ABR은 난청의 위험이. 있는 유아에서 청력 역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청성뇌간반응은 청각신호 …
- Table of Contents:

(강의) 청성뇌간유발반응의 검사, 해석, 그리고 정도관리 – YouTube
- Article author: www.youtube.com
- Reviews from users: 48175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강의) 청성뇌간유발반응의 검사, 해석, 그리고 정도관리 – YouTube 안녕하세요. 이번 동영상은 객관적인 청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 방법인 청성뇌간유발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에 대해서 검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강의) 청성뇌간유발반응의 검사, 해석, 그리고 정도관리 – YouTube 안녕하세요. 이번 동영상은 객관적인 청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 방법인 청성뇌간유발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에 대해서 검사 … 안녕하세요. 이번 동영상은 객관적인 청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 방법인 청성뇌간유발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에 대해서 검사 방법, 해석, 그리고 실제 검사할 때 영향을 받는 인자에 대해서 설명하고 정도 관리 및 trouble shooting…2020-08-26,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안중호, 이어드림, ear-dream, audiroty, brainstem, response, abr, 청성뇌간유발반응, 정도관리, 검사방법, 해석, 청신경 종양, 청력검사, 진단, 위난청, 유소아 청력검사, 청각장애, 청각사, 청능사
- Table of Contents: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 Article author: www.hearingscreening.or.kr
- Reviews from users: 37170
Ratings
- Top rated: 3.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의 경우 정상 청력의 기준은 클릭음을 이용한 청성뇌간반응의 기도(air conduction) 역치가 양측 귀 모두 35 dBnHL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의 경우 정상 청력의 기준은 클릭음을 이용한 청성뇌간반응의 기도(air conduction) 역치가 양측 귀 모두 35 dBnHL ... Korean Stroke SocietyKorean Stroke Society
- Table of Contents: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 Article author: www.amc.seoul.kr
- Reviews from users: 36820
Ratings
- Top rated: 3.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청력검사는 소리를 듣는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청력이 손실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검사 ... 객관적 방법에는 임피던스 청력검사, 전기와우도, 청성뇌간반응 청력검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각학 관련 용어 < 자료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청력검사는 소리를 듣는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청력이 손실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검사 ... 객관적 방법에는 임피던스 청력검사, 전기와우도, 청성뇌간반응 청력검사, ... Korean Stroke SocietyKorean Stroke Society
- Table of Contents:

ëì² íììì ì²ì±ëê°ë°ìê²ì¬ì ììì²ë ¥ê²ì¬ ê° ì£¼íìë³ ìì¹ ì°¨ì´ ë¶ì
- Article author: www.kjorl.org
- Reviews from users: 19096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ëì² íììì ì²ì±ëê°ë°ìê²ì¬ì ììì²ë ¥ê²ì¬ ê° ì£¼íìë³ ìì¹ ì°¨ì´ ë¶ì 난청 환자에서 청성뇌간반응검사와 순음청력검사 간 주파수별 역치 차이 분석. Difference in Thresholds Betwee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ëì² íììì ì²ì±ëê°ë°ìê²ì¬ì ììì²ë ¥ê²ì¬ ê° ì£¼íìë³ ìì¹ ì°¨ì´ ë¶ì 난청 환자에서 청성뇌간반응검사와 순음청력검사 간 주파수별 역치 차이 분석. Difference in Thresholds Betwee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
- Table of Content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ì ë¡
ëì ë° ë°©ë²
ê²° ê³¼
ê³ ì°°
Acknowledgements
Notes
Reference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 Article author: www.kci.go.kr
- Reviews from users: 29589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of Threshold of Click-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ith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of Threshold of Click-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ith … Correlation of Threshold of Click-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ith Pure-Tone Threshold Average in Various Formulas – Auditory brainstem response;Auditory threshold;Pure tone audiometry.
- Table of Contents:
초록
열기닫기 버튼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인용현황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2건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9)
열기닫기 버튼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giarevietnam.vn/blog.
전기생리 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ABR)
소리가 외이, 중이, 내이의 코르티기관까지 전달이 되면, 코르티기관에서는 이 음파에 의한 자극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와우신경세포에 신경자극을 일으키게 된다. 이 전기 자극은 머리 피부에도 전달이 되는데 이는 뇌척수액과 뇌조직이 전도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여러 신경세포에서의 전기신경자극은 두피의 여러 부분에서 포착되며, 전달속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 오는 자극인지도 구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청성뇌간반응검사는 음자극 후 약 0~10msec 이내에 와우에서 중추신경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전위를 그래프로 볼 수 있게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자의적, 타의적으로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신생아, 유 소아, 지체 부자유자, 의식불명 환자, 위난청 환자들의 청력의 역치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검사로 사용되며, 또한 청신경종양의 진단과 병변을 예측하는 데에도 아주 유용한 검사이다.
전기생리검사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며 검사과정이 비관혈적일 뿐 아니라 마취나 신경안정제 등에 영향을 덜 받는 등 여러 장점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이다.
* 처치 및 주의사항 : 가능한 반 수면상태를 유지하여야 검사가 용이하므로 검사 전날 잠을 적게 자도록 권하고, 필요하면 약을 사용하여 sedation한다. sedation에 사용하는 약은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전기와우청력검사 (Electrocochleography : ECoG)
청성뇌간반응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나 차이점은 근거리 전극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고막을 통하여 전극을 갑각에 부착시키거나 고막 외측 또는 외이도에 위치시켜 음자극에 따른 와우의 전기적 반응을 기록함으로써 청력장애의 정도, 와우의 이상유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장해부위의 진단, 메니에르병의 진단, 돌발성 난청의 예후 진단에 임상적으로 응용 되기도 한다.
* 처치 및 주의사항 : 특별한 전처치나 주의사항은 필요 없지만 필요한 경우 sedation을 한다
이음향방사검사 (OtoAcoustic Emissions : OAEs)
이음향방사는 와우외유모세포의 수축, 진동에 의해 발생되어 그 진동파가 외이도에 전파되어 나타난다고 밝혀지고, 그 중 유발이음향방사는 주어진 음자극에 대한 음향반응이 와우에서 생성되어 이소골, 고막을 통하여 외이도에 전파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음향방사의 측정은 최근에 선별검사, 혹은 역치검사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즉 청각과정과 밀접한 와우내의 생리현상을 반영하며, 빠르고 객관적이며 비침습적인 청력검사의 방법으로서 그 유용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유소아의 청각장애는 음성,언어 및 인식능력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신생아 시기에 있어서 객관적인 선별검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난청의 발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중의 하나이다.
* 처치 및 주의사항: 검사 전에 고막의 상태를 꼭 확인한다. 침 삼키는 소리 및 움직임에 의한 잡음을 없애야 하므로 잠자는 시간을 이용하거나 진정제를 사용하여 sedation 시킨다. 그리고 주위의 소음을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검사자가 주의 하도록 한다.
신경전도검사 (Electroneuronography : ENoG)
안면마비는 환자에게 심각한 미용적 문제점들을 남길 수 있으므로 치료방침의 결정이나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 전기진단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전도검사는 신경의 변성정도와 이로 인한 근육의 변화를 전기적 방법으로 기록하여 병변의 위치를 결정하고 신경 손상의 생리적 정도를 판단하여 치료방법과 예후를 예측하는 검사로서 마비된 부위의 반응 크기를 정상측과 비교하여 변성정도를 비율로 표시한다. 안면신경 마비의 경우 신경전도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예후를 예측하는 데 있어 2주 이내에서만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마비 후 2주 이상 시간이 경과하면 근위부에서 이미 신경의 재생과정이 시작되며 손상된 신경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신경전도 검사상 90% 변성이 있으면 수술적 방법으로 안면신경감압술을 시행하며,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의 경우 최초 14일 이내 95%이상 변성이 되는 경우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청 환자에서 청성뇌간반응검사와 순음청력검사 간 주파수별 역치 차이 분석
Address for correspondence Jong Yang Kim,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123 Songi-ro, Songpa-gu, Seoul 05715, Korea Tel +82-2-3400-1828 Fax +82-2-400-0287 E-mail [email protected]
The difference in the threshold, regardless of the severity or tendency of hearing loss, was the smallest at 2 kHz and the range was ±5 dB. ABR was 10 dB higher at 1 kHz and and 10 dB lower at 4 kHz than PTA. In the downward group, the difference at 1 kHz and 4 kHz increased by 10 dB each.
For all ears, the appropriate range of difference value was ±5 dB at 2 kHz. At 1 kHz, the ABR threshold was 10 dB higher than PTA, and it was 10 dB less than PTA at 4 kHz. In the downward group, the difference value increased by 10 dB at 1 kHz and 4 kHz. In the subgroups at each hearing level, the difference value showed similar results (p<0.05). We retrospectively assessed the audiometry results of 129 ears. Ears in which the hearing thresholds of each frequency continuously declined were classified as the downward group. We compared the average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sts by frequency.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for each hearing level from 50 dB or higher.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the difference in the thresholds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and pure tone audiometry (PTA) when using AB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PTA. Therefore, we assessed the difference in the thresholds of ABR and PTA for each frequency. Consequently, we present here the actual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two tests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clinic. Notes References 1. Gorga MP, Worthington DW, Reiland JK, Beauchaine KA, Goldgar DE. Some comparisons between auditory brain stem response thresholds, latencies, and the pure-tone audiogram. Ear Hear 1985;6(2):105–12. 2. Bellman S, Barnard S, Beagley HA. A nine-year review of 841 children tested by transtympanic electrocochleography. J Laryngol Otol 1984;98(1):1–9. 3. Hyde ML. The effect of cochlear lesions on the ABR. In : Jacobson JT, ed.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Boston: College Hill Press; 1985. p. 134–46. 4. Jerger J, Mauldin L. Prediction of sensorineural hearing level from the brain stem evoked response. Arch Otolaryngol 1978;104(8):456–61. 5. An YH, Yoon JH, Oh HS, Lee ES, Kim DH, Yoon JE, et al. Comparison of correlation between the pure tone audiometry,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nd the auditory steady-state response for the evaluation of hearing disability in adults. J Cl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7;28(2):192–8. 6. Coats AC, Martin JL. Human auditory nerve action potentials and brain stem evoked responses: Effects of audiogram shape and lesion location. Arch Otolaryngol 1977;103(10):605–22. 7. van der Drift JF, Brocaar MP, van Zanten GA. The relation between the pure-tone audiogram and the click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 in cochlear hearing loss. Audiology 1987;26(1):1–10. 8. Lee JS, Kim BG, Park IS, Kim YB, Jang TW, Oh SY. Comparison of pure-tone thresholds and click-evoked auditory brain stem response thresholds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Korean J Audiol 2010;14(2):110–4. 9. Seo JH, Jeon EJ, Park YS, Kim JE, Kim DH, Nam IC, et al. Correlation of threshold of click-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ith pure-tone threshold average in various formula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2;55(12):764–70. 10. Chien CH, Tu TY, Shiao AS, Chien SF, Wang YF, Li AC, et al. Prediction of the pure-tone average from the speech reception an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s in a geriatric population.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2008;70(6):366–72. 11. Park WK, Lee YM, Heo KW, Kim JR.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normal hearing patients with tinnitus. J Cl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5;26(2):202–7. 12. Kang MS, Choi JE, Lee MY, Jung JY. Interaural comparison of audiotory brainstem response in unilateral tinnitus pati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3):127–32.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타입을 선택하세요 :
타입을 선택하세요 :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CS AMA NLM IEEE
@article{ART001720952,
author={서재현 and 전은주 and 박용수 and 김주은 and 김동현 and 남인철 and 이일환 and 이호석},
title={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journal={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year={2012},
volume={55},
number={12},
pages={764-770},
doi={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
TY – JOUR
AU – 서재현
AU – 전은주
AU – 박용수
AU – 김주은
AU – 김동현
AU – 남인철
AU – 이일환
AU – 이호석
TI –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T2 –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JO –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PY – 2012
VL – 55
IS – 12
PB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SP – 764
EP – 770
AB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shold of click-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and the pure-tone averages in various formulas. Subjects and Method Data were obtained from 207 patients (326 ears)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ll subjects underwent hearing threshold evaluation using pure tone audiogram (PTA), speech audiogram and click-evoked ABR.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threshold of click-evoked ABR and threshold of separate frequencies of the PTA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reshold for click-evoked ABR and various pure-tone averages. Results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threshold of click-evoked ABR and PTA thresholds at 0.5 kHz, 1 kHz, 2 kHz, 3 kHz, and 4 kHz. The highest coefficients of regression and determination were 1.026 for 4 kHz and R2=0.663 for 3 kHz,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regression was highest (=0.995) for the mean of PTA thresholds for 3 kHz and 4 kHz.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highest for the mean of PTA thresholds for 1, 2, 3 and 4 kHz (R2=0.73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ABR threshold and PTA thresholds for 1, 3, and 4 kHz (R2=0.732), with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at 3 kHz [ABR=11.79+(0.17×1 kHz)+(0.26×3 kHz)+(0.23×4 kHz), (p<0.05)]. Conclusion The threshold of click-evoked ABR correlates best with the mean of PTA thresholds for 1, 2, 3 and 4 kHz. The PTA threshold for 3 kHz has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BR threshold.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2;55:764-70
KW – Auditory brainstem response ㆍAuditory threshold ㆍPure tone audiometry.
DO –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ER –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and 이호석. (2012).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55(12), 764-770.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and 이호석. 2012,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vol.55, no.12 pp.764-770. Available from: doi: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55.12 pp.764-770 (2012) : 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2012; 55(12), 764-770. Available from: doi: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and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55, no.12 (2012) : 764-770.doi: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55(12), 764-770. doi: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 2012; 55(12) 764-770. doi: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서재현, 전은주, 박용수, 김주은, 김동현, 남인철, 이일환, 이호석. 클릭유발 청성뇌간반응과 순음청력검사의 평균 및 주파수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2012; 55(12), 764-770. Available from: doi: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12.764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청성 뇌간 반응 검사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ABR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 비용, abr검사 비용, 순음청력검사, 뇌신경검사, 어음청력검사, 청력검사 병원, 청력 측정